[마음의 쉼터] 감사하는 습관을 기르자

Google+ LinkedIn Katalk +

미국 버지니아주에 가난한 모자가 살고 있었다. 목사였던 아버지는 일찍 세상을 떠났고, 어머니와 단둘이 어렵게 살아가고 있었다. 특별한 재주가 없는 어머니는 남의 집 허드렛일을 해주고 어렵게 아들과 살면서 그래도 아들만은 제대로 된 교육을 시키기 위해 노력했다. 이런 어머니의 사랑을 아는 아들은 어머니의 뒷바라지에 항상 감사하며 열심히 공부해서 프린스턴 대학을 수석으로 졸업하게 되었다. 드디어 그는 졸업식에서 모든 졸업생을 대표해 ‘졸업연설’을 하는 영예를 얻었다. 그러나 아들의 졸업식이 다가오면서 어머니는 걱정에 쌓였으니, 졸업식에 입고 갈 변변한 옷이 없었기 때문이다. 졸업식에도 참석하지 않겠다는 어머니를 겨우 설득하여 참석은 하되, 대신 제일 뒷자리에 앉는 조건으로 아들과 타협했다. 졸업식이 닥쳐오자 어머니는 초라한 복장으로 가장 뒷자리에 숨어있듯 앉아 있었다. 드디어 식순에 따라 아들이 졸업생 대표 연설을 하게 되었다. 그는 연설 말미에 “제가 이처럼 무사히 대학을 졸업하게 된 것은 먼저 하나님의 보호하시고 인도하심의 결과이며, 저를 가르쳐주신 여러 교수님들 덕분이지만, 그에 앞서 온갖 고생을 마다하지 않고 학비를 조달해주신 어머니의 희생의 결과라 여겨집니다.” 그리고 그는 걸어서 제일 뒷자리에 숨어있듯 앉아 있는 어머니께 다가서서, “어머니, 감사합니다. 어머니의 사랑과 희생으로 제가 이 학교를 졸업하게 되었습니다. 따라서 오늘 제가 받은 영예의 메달은 제가 아니라 오히려 어머니께서 받을 자격이 있습니다”라면서 자기 가슴에 있던 메달을 떼어 어머니 가슴에 달아드렸다. 이 모습을 보고 모든 사람이 일어나 진정어린 축하의 박수를 보내주었다. 

이 젊은이는 그 후에 변호사로 일하다가 모교인 프린스턴대 교수로 그 후 1902년에 총장으로 재직했고 8년 후에는 뉴 저지 주지사, 다시 2년 후에는 미국의 28대 대통령이 되었다. 그가 바로 민족자결주의를 제의해서 당시에 일본의 압제에 시달리던 우리나라에 3·1운동을 일으키는 원동력을 불러 넣어준 우드로 윌슨(Thomas Woodrow Wilson, 1856-1924)이었으며, 후에 노벨 평화상도 수상했다. 그는 어렸을 때부터 천재였고 그의 이력이 매우 학구적인 것처럼 미국 대통령 중에서 유일하게 제대로 된 박사학위를 받은 대통령이 되었다. 

그는 어렸을 때부터 어머니의 신앙을 본받아 언제나 감사하는 자세를 유지하고 살았다. 특히 하찮은 작은 일에도 감사하는 습성을 배웠다. 감사하는 제목을 찾는 훈련을 하면서 언제나 감사할 준비가 되어 있었다. 이렇게 항상 감사하는 생활을 했기에 언제나 마음이 평화스러워지고 편안함을 갖게 되었다. 사실 이는 그가 어렸을 적에 그렇게 힘든 생활 중에도 언제나 감사하는 어머니에게서 배운 산 교육이었다. 

일반적으로 보통 사람들은 불평의 습관들이 몸에 배어 있다. 일이 잘 안되는 것에 대해서는 핑계를 대며 남에게 책임을 전가하는 것이 일반화 되어 있다. 그러면서도 일이 잘 되는 것에 대해서는 감사하는 마음보다, 이는 너무도 당연하게 자신이 일을 잘 한다고 여기는 경향이 많다. 그러나 사실 어려움이 닥쳤을 때라도 오히려 감사하는 자세로 일을 처리하면 문제가 해결되는 때가 많다. 그러기에 어떠한 환경에서라도 우리는 감사에 게으르지 말아야 한다. 이렇게 모든 일에 감사하는 마음을 지니면 더 큰 감사의 제목이 따르고 이는 곧 항상 즐거움에서 살 수 있는 비결이 된다.  

백형설 장로

<연동교회>

공유하기

Comments are clo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