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앙산책] 마음씨 착한 교통경찰 이야기

Google+ LinkedIn Katalk +

한 지인으로부터 재미있는 메일을 받았는데 그 내용이 이렇습니다. 70회 생일을 맞이한 노인이 갑작스레 치통이 생겨 치과를 찾았습니다. 상황은 급한데 마땅한 주차공간이 없어 차를 갓길에 세워놓고 치료를 받고 나오니 마침 그때, 교통경찰이 딱지를 떼고 있었습니다. 노인은 경찰에게 사정을 털어놓았습니다. “오늘이 70회 생일인데  아침부터 이빨이 아파서, 정신을 차릴 수 없었어요. 평생 법을 어긴 적이 없는데,  생일날 딱지까지 떼게 생겼네요. 한 번만 봐줘요. 안 그러면 오늘은 정말 아주 운이 나쁜 생일이 될 거에요.” 

두 사람의 대화에 관심을 가진 사람들이 모여들어 경찰이 ‘법(法)’과 ‘인정(人情)’ 사이에서 어떤 결정을 내릴 지를 지켜보고 있었습니다. 한 번만 봐 달라고 통사정을 하는 노인의 하소연에도 불구하고 경찰은 얼굴 표정의 아무런 변화도 없이 고지서를 기록한 후, 무심한 표정으로 고지서를 노인에게 건네주고는 돌아섰습니다. 둘러선 사람들이 중얼거렸습니다. “역시 법이야! 경찰에게는 법이 우선이지. 그래야 세상이 제대로 굴러가는 거야!” 

노인도 더 이상 사정을 포기하고는 고지서를 받아들고 차에 올라탔습니다. “법은 법이지, 그래도 너무하네, 젊은 사람이 냉정한 표정하고는!” 차에 올라탄 노인이 벌금이 얼마인지를 확인하려고 고지서를 펼쳐 보았습니다. 그 순간, 노인은 너털웃음을 지었습니다. 고지서에는 벌금 대신, “어르신, 생신을 축하합니다.”라고 적혀 있었기 때문이었습니다. 노인이 멀리 걸어가는 경찰을 바라보자, 경찰이 노인에게 손을 흔들어 주었습니다. 

경찰은 아마도 현장에서 노인의 하소연을 들어주고 싶었을 것입니다. 하지만 둘러선 사람들의 시선을 무시할 수도 없었을 것이므로 내린 판단은  노인과 구경꾼 둘 다를 만족시키는 ‘명안(名案)’을 생각해낸 것으로 보입니다. 고지서를 끊기는 하되, 벌금 액수 대신 ‘생일축하편지’를 건네주는 방법 말입니다. 때로 우리는 양쪽의 대립상태의 중간에 서게 됩니다. 양쪽을 만족시킬 수 없는 진퇴양난의 길에 서 있을 때, 우리가 떠올려야 할 것이 바로 그 교통경찰의 “생일축하 고지서”입니다.

다음은 지난해 8월 하순, 문 장로가 겪은 실화입니다. 미국 LA에 사는 막역지우(莫逆之友) 장 모 목사(1939~ )가 대전에 왔다가 서울로 돌아가는 길이었습니다. 친구를 대전역에 데려다 주려고 운전을 하고 있었습니다. 중간에 근사한 찻집에 들러 차 한 잔을 마시고 대전역으로 향하려 했는데 그 찻집이 코로나로 문이 닫혀 있었습니다. 하는 수 없이 대전역으로 직행해서 그곳에서 차를 마시는 게 좋겠다고 생각하고 다소 급한 마음으로 차를 몰았는데 진행하는 방향이 대전역 방향이 아니어서 중도에 ‘유-턴’을 해야만 했습니다. ‘유-턴’표시 지역에 3~4m 못 미쳐 차를 돌리고 보니 바로 코앞에 교통경찰이 기다리고 있었습니다. 

보통의 경우, 조금 먼저 ‘유-턴’을 해도 신호체계만 위반하지 않으면 교통경찰이 문제를 삼지 않는데 ‘이 사람은 조금 까다롭구나!’하고 생각을 했습니다. “면허증을 주십시오.”하는 경찰에게 면허증을 꺼내면서 “친구가 미국에서 왔는데 대전역에 데려다 주는 과정에서 마음이 조금 급했나 봅니다. 정상을 참작해 주세요”하고 면허증을 내밀었습니다.

경찰은 면허증을 들여다보고 나서 말했습니다. “대전역을 가시려면 직진해서 조금만 돌아가면 되는데 왜 여기서 ‘유-턴’을 하셨나요?” 그때 운전자를 질책하는 경찰의 얼굴에는 엷은 미소가 감돌고 있었습니다. 경찰은 잠시 운전자의 얼굴을 물끄러미 바라보더니, “앞으로는 조심해서 운전하세요.” 하며 면허증을 돌려주는데 그가 그렇게 고마울 수가 없었습니다. 옆자리에 앉았던 친구 장 목사가 내게 말했습니다. “한국에서는 아직도 사정을 하면 통하는군!” “당신이 미국에서 온 친구라는 것 때문에 봐 준 거야!”하고 내가 말하니, 장 목사는 “문 장로가 상황설명을 잘 한 덕분이야!”하고 공(功)을 내게 돌렸습니다. 

그때 나는 확신하기를 경찰이 면허증에 나타난 운전자의 나이가 80이 지난 노인이었다는 점을 고려해준 것이라는 사실이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아직도 ‘경로우대사상’이 사라지지 않고 남아있다는 사실이 반갑고 고마웠습니다. 위에서 언급한 두 가지 경우, 늙은이를 배려해 준 두 사람의 교통경찰의 ‘배려와 관용’을 머리에 떠올리는 것만으로도 괜히 기분이 좋아집니다.

문정일 장로

<대전성지교회•목원대 명예교수>

공유하기

Comments are clo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