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앙산책] 결초보은(結草報恩) : “은혜와 감사”

Google+ LinkedIn Katalk +

우리가 학창시절에 배운 고사성어(故事成語) 중에 ‘결초보은(結草報恩)’이란 말이 있다. “맺을 결(結)/ 풀 초(草)/ 갚을 보(報)/ 은혜 은(恩)​”이니 이 말의 뜻을 한 줄로 이어놓으면 “풀을 묶어서 은혜에 보답한다”는 말인데 이를 의역(意譯)하면 “죽은 뒤에라도 잊지 않고 은혜를 갚음”을 이르는 말이다.

춘추시대, 진(晉)나라에 ‘위무자(魏武子)’라는 왕이 있었다. 그에게 아끼는 첩이 있었는데 그녀에게 자식은 없었다. 왕 ‘위무자’가 병이 들어 눕자, 왕은 본처의 아들인 ‘위과(魏顆)’에게 이르기를 “첩이 아직 젊으니 내가 죽거든 다른 곳에 시집보내도록 하라”고 했다. 그런데 병이 깊어지자 말을 바꾸었다. “애첩을 순장(殉葬) 시켜라”하고 유언한 것이다. ‘순장’이란 왕이 죽었을 때 그의 아내나 신하 또는 종들을 함께 매장하던 고대 장례풍속이니 “나를 묻을 때, 첩도 함께 묻으라”는 말이었다. 아버지가 돌아가시자, 아들은 어찌해야 할지 매우 난감했다. 처음에는 ‘시집보내라’고 했다가 다시 ‘자신과 함께 묻으라’고 유언을 바꾸었기 때문이다. 

한동안 고민하던 아들은 아버지 ‘위무자’가 임종 시에 말한 순장유언(殉葬遺言)을  따르지 않고 앞에 말했던 ‘개가(改嫁) 시키라’라고 한 유언을 따라 그의 서모(庶母)를 개가시켰다. 당사자인 그의 서모는 아들 위과가 자기를 “함께 묻으라”는 부왕(父王)의 임종 시의 유언을 따르지 않은 것을 의아 하게 생각하자, 아들은 이렇게 말했다. “사람이 병(病)이 깊어지면 생각이 흐려지기 마련이라오. 정신이 맑을 때 아버지가 남긴 유언을 따르는 게 옳다고 생각했소. 그래서 저는 부왕이 정신이 맑을 때 하신 유언을 따른 것이라오.”  

그 후 이웃나라인 진(秦)의 환공(桓公)이 ‘위무자’가 다스리던 진(晉)나라를 쳐들어 왔는데 ‘위무자’의 아들 ‘위과(魏顆)’도 총사령관이 되어 전쟁에 나서게 되었다. 양측이 싸움을 벌일 때, 이상한 일이 일어났다. 당시, ‘위과’의 군대는 적군의 공격에 몰려 위태로운 처지에 빠져 있었다. 그때 한 노인이 나타나 무성하게 자란 풀들을 잡아매어 온 들판에 수많은 매듭을 만들어놓았다. 적군들은 말을 타고 공격해 오다 풀매듭에 말이 걸려 넘어져 이리저리 나뒹굴었다. 적국(敵國)의 대역사(大力士) ‘두회(杜回)’가 풀매듭에 걸려 자빠지자 진(晉)의 총사령관 ‘위과(魏顆)’는 적군의 장수인 ‘두회’를 사로잡을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위과’는 적을 공격하여 손쉽게 승리를 거두게 되었다. 

‘위과’는 풀을 잡아매어 수많은 매듭을 만들어 놓은 그 노인이 누구인지 궁금했지만 어디론가 홀연히 사라져 알 수가 없었다. 그날 밤, ‘위과’의 꿈에 그 노인이 나타나 말했다. “나는 당신이 순장(殉葬)시키지 않고 살려서 좋은 곳으로 시집보내 준 여인의 친정아버지입니다. 당신이 아버지의 맑은 정신일 때의 유언을 옳은 유언이라 여기고 내 딸을 죽이지 않고 다른 곳으로 시집 보내어 잘 살게 해 주었으니 내가 그 은혜를 갚고자 풀을 묶어 ‘두회(杜回)’를 넘어뜨린 것입니다.” 여기에서 ‘결초보은(結草報恩)’이란 말이 유래했다고 한다. 

교회력으로 해마다 11월 셋째 주일은 《추수감사절(Thanksgiving Day)》이다. 다시 감사를 생각하는 계절이다. 시편(116:12)에 보면 “내게 주신 모든 은혜를 내가 여호와께 무엇으로 보답할꼬?”라는 말씀이 나온다. 우리가 세상을 살아갈 때, 하나님의 전적인 은혜를 믿고, 하나님의 뜻과 섭리를 믿는다면 범사에 감사하며 살게 되지만, 자기가 인생의 주인이라고 생각하게 되면 불평과 불만이 많아지게 마련이다. 감사하며 사느냐 아니면 불평하며 사느냐에 따라 그의 인생이 행복할 수도 있고 불행해질 수 있다는 말일 터이다. 그러니까 「감사하는 삶이냐, 아니면 불평하는 삶이냐」는 나 자신이 선택하는 것이다. 하나님을 믿는 우리는 시편기자의 말씀처럼 “하나님의 은혜를 어떻게 보답할꼬?”하는 마음으로 살아야 할 일이다.  

사도 바울은 핍박과 어려움을 많이 당한 사도인데 그는 핍박과 어려움조차도 ‘모두가 하나님의 은혜’라고 고백하였다. 복음성가 중에 이런 노랫말이 있다. “내가 누려왔던 모든 것들이, 내가 지나왔던 모든 시간이, 내가 걸어왔던 모든 순간이, 당연한 것이 아니라 은혜였소.” 사실인즉 우리가 겪었던 지난 일들을 돌아보며 곰곰이 생각해 보면 ‘하나님의 은혜가 아닌 것이 없고 감사의 제목이 아닌 것이 없음’을 깨닫게 된다.

문정일 장로

<대전성지교회•목원대 명예교수>

공유하기

Comments are clo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