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로지성2] 생각을 바꾸면 미래가 보인다

Google+ LinkedIn Katalk +

인간의 생각은 행동을 유발한다. 좁은 생각을 하면 편협한 행동이 나올 수밖에 없다. 합리적, 발전적 열린 생각을 하면 발전적이고 생산적인 행동을 하게 될 것이다. 그처럼 어떤 생각을 하느냐에 따라 그에 따른 행동이 나오기 때문에 인간의 생각은 대단히 중요하다. 

그래서 프랑스의 근대 철학자의 아버지로 불리는 데카르트(Rene Descartes)는   『방법서설, Discours de la methode』에서 ‘생각한다 고로 존재한다(Cogito ergo sum)’라는 유명한 말을 하였다. 서양 중세시대는 봉건제도의 핵심인 장원제도가 발전하였다. 지방의 영주가 장원 내에서 절대권을 행사하는 사회구조다. 그런 폐쇄된 봉건사회 구조는 십자군 전쟁(1096~1270) 후 무너지는 결정적 계기가 되었다. 봉건 영주의 억압적 지배하에 살던 농민들이 자유와 새로운 일터를 찾아 도시로 몰려들었다. 그후 영국과 프랑스 간에 백년전쟁(1337~1453)이 발생하였다. 그런 연속적 전쟁과 사회적 혼란은 군주가 자연스럽게 절대권을 장악해 가게 되었다. 영국과 프랑스의 계몽적 선각자들은 중세의 봉건적 사고와 국민주권을 억압하는 절대군주들에 대해 저항하면서 인민주권의 사회를 이룩하기 위해서 새로운 사고의 틀을 강조하였다. 17세기 계몽주의자들의 이런 신사고는 마침내 청교도혁명(1642), 미국독립혁명(1776), 프랑스혁명(1789)이라는 시민혁명을 유발케 하는 배경이 되었다. 특히 프랑스혁명을 통해서 중세적 봉건적 구질서라는 앙시앵 레짐(Ancien Regime)을 타파하고 인민의 경제적 신분적 자유와 평등을 강조하는 이성(理性)의 개념을 중시하게 되었다. 이런 이성을 강조하는 계몽주의 사상은 서양 중세 천년 동안 내려오던 성당문화를 부정하는 데까지 이르렀다. 이에 대해 독일의 칸트(I. Kant)는 순수 이성을,  헤겔(G. W. F. Hegel)은 신의 존재를 인정하는 유심변증법을 주장하게 되었다. 이에 대해 엥겔스(F. Engels)와 마르크스(K. Marx)는 1848년 공산당 선언을 통해 경제적 평등을 강조하면서 유물변증법을 주장하기에 이르렀다. 이들의 사상은 프롤레타리아(proletaria)혁명이라는 새로운 사고의 틀을 만들어 내게 되었다. 이 사상은 러시아혁명(1917)을 통해 제2차대전 후 빈부격차가 많은 나라에 들풀처럼 퍼져나갔으며, 그런 국제공산주의운동(Comintern)의 분위기 속에서 마침내 북한도 공산화되게 되었다. 하지만 공산주의 종주국 소비에트연방공화국이 1991년 붕괴되고 다당제의 민주국가로 변하고, 동구권 국가들도 민주국가로 변하였다. 베트남도 쿠바도 변하고 대부분이 이념을 넘어 실리를 추구하는 방향으로 변해가고 있으며, 중국조차도 시장경제를 받아들여 경제대국으로 변신해 가고 있다.

북한은 새로운 사고로 변해야 살아남을 수 있을 것이다. 평등을 강조하는 마르크스주의에 얽매여 계속 우리식 사회주의만을 고집하고, 이를 지키기 위해 핵무기를 계속 고집하는 한, 폐쇄국가로 남아 세계국가들로부터 멀어져 갈 것이다. 북한 정권이 사상의 다양성, 문화의 다양성을 인정하는 열린 사고로 변해야 미래에 발전과 희망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남한에 탈북해 와 있는 북한 이탈주민들과 대화하는 과정에서 탈북 사유를 물어보면, 이른 아침부터 뼈빠지게 일해도 굶주림에 시달리는 데 너무나 견디기 힘들었다는 것이 그들의 중론이다. 한편 세계는 주권이 통치자에게 있어 통치자가 국민 위에 군림하던 왕조적 전제시대는 이미 지나가 버렸다. 세계 어느 나라를 막론하고 그 나라 국민이 주인 노릇하는 시대로 가고 있다. 남북한 국민 모두가 자유와 평등을 조화롭게 향유하는 성숙한 민주주의국가 건설의 방향으로 하나되어 미래로 나아갈 때, 남북한은 세계에 우뚝 선 자랑스럽고 희망적인 한민족이 될 것이다.

조인형 장로 

– 영세교회 원로

– 강원대 명예교수

– 4.18 민주의거기념사업회 회장

공유하기

Comments are clo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