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정경영] 추석에는 어릴적 고향이 그립다

Google+ LinkedIn Katalk +

한가위란? ‘남자들은 한가롭고 여자들은 가위가 눌리는 날’일 수 있다. 소위 말하는 명절증후군이다. 게다가 명절후유증으로 생기는 부부의 불화로 인해 명절이혼을 하는 부부도 있다.

명절이 되면 주부들은 병을 앓는다. 시댁에 가서 겪을 육체적ㆍ정신적 피로에 걱정이 앞서 스트레스를 받는다. 심하면 초조, 불안, 위장장애, 우울증까지 이어진다.

우리 어릴 적 명절을 떠올리면 아련하게 묻어나는 추억이 있다. 오랜만에 가족들을 만나는 기쁨이 있다. 맛있는 음식도 먹고 새 옷 얻어 입을 생각에 얼마나 기다렸던가? 요즈음 명절은 기대와 설렘보다 가족 간에 신경을 많이 써야만 하는 시간이기도 하다.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것도 이때다. 며느리뿐 아니라 자녀들도 진학과 취업, 결혼과 출산 등의 질문에 힘들어한다. 넌 언제 결혼할거니? 취직은 했니? 애는 안 낳니? 이런 말은 해서는 안 되는 금기어이다. ‘돈이 있어야 효도 한다.’는 생각에 남편들도 스트레스를 받는다. ‘직장생활로 피곤해 하는 며느리 눈치 보랴 음식 준비하랴’ 시어머니도 마음이 무겁긴 마찬가지다.

즐거운 날이 괴로운 날이 되기도 하고, 해묵은 가족 간의 갈등이 표출되기도 한다. 비용 분담이나, 일 분담의 문제가 갈등이 되는 경우가 많다. 장보기와 차례상 준비 등 요리는 주부들 몫이다. 음식점에는 남자 주방장도 많건만 집에서는 왜 여자들만 요리를 해야 하는 것일까? 여자들도 더 이상 섬기는 일이 보람이 아니라 ‘왜 나만 고생해야 하느냐?’라며 억울해 한다. 요즈음은 음식도 주문해서 먹는 시대가 되었다. 시댁 가기 싫은 며느리 코로나 핑계 대기도 좋다. 명절이 모든 사람에게 설레고 행복한 것은 아니다. 오히려 힘들고 괴로울 수 있다. 즐거운 추석이 즐거운 명절(名節)이 아니다. 오히려 생명을 단축하는 명절(命切)이 될 수 있다.

시골 깡촌에서 자란 나는 힘들고 버거울 때면 그리워지는 곳. 생각하면 아련히 떠오르는 고향. 나이가 들고 세월이 가도 고향이 그립다. 생의 막다른 골목에서도 가 보고 싶고 아련히 떠오르는 그곳이 바로 내 마음 속에 담긴 고향이다. 그런 고향도 지금은 너무나 달라졌다. 그래도 명절이 되면 사람들은 고향을 찾는다. 가족 간에는 때로는 소원하고 서운하면서도 애처로움과 연민이 뒤섞여 있다.

부쩍 늙고 기력이 쇠한 부모를 바라보고 있노라면 복잡한 연민에 가슴 미어지기도 한다. 할아버지는 손자의 뛰노는 모습을 보며 핏줄에 엉겨 붙는 뜨거운 정을 느낀다. 직장 생활하랴, 애들 키우랴, 아등바등 사는 자녀들을 보면 그저 안쓰러워 마음이 짠하다.

명절은 함께 즐기는 축제다. 만나서 반갑고 행복한 추석 명절이면 좋겠다. 들어주고 맞장구치면서 웃어보자. 그리고 정감있게 던지는 말 한마디에 행복이 있다. 수고한 아내한테 “여보 힘들었지. 수고했다. 여보 사랑해” 이렇게 부드럽게 해 주는 한마디가 위로이고 회복이다. 거기에 봉투라도 주면서….

부모, 처자식 간 손잡고 마주 바라볼 수 있는 명절이 우리가 꿈꾸는 명절, 고향에서 맛보는 행복이다. 고향이 없는 자, 고향에 갈 수 없는 자는 안다.

두상달 장로
• 국내1호 부부 강사
• 사)가정문화원 이사장

공유하기

Comments are closed.